[남과여] <매디슨카운티의 다리>라고 말하면 욕먹겠지?
그래... 이런 공간에서는 그럴 수 있다
헬싱키.
캠프를 가는 아이를 데려다주다 만난 남과 여.
여자는 아무래도 아이가 걱정되어 남자에게 캠프장이 얼마나 먼지 물어보고
남자는 여자에게 선뜻 데려다주겠다고 한다.
그렇게 함께 떠나게 된 둘. 캠프장 근처에 도착한 후, 집으로 돌아가려했지만
눈보라가 몰아쳐서 결국 갇히게 된 남과 여.
서로의 마음이 끌리는대로 시간을 보내고 이름도 모른 채 헤어진다.
8개월 후, 서울
알고보니 여자는 잘나가는 의류 브랜드 CEO고 남자는 역시 또 잘나가는 건축가이다.
우연찮게 서울에서 재회하게 된 두 사람.
헬싱키에서 못다한 마음을 이어가는 데...
남자는 늘 이렇게 여자를 찾아온다
어떻게 보면 불륜을 미화했다고도 이야기할지 모르겠다.
어느 정도 경제적으로 걱정없는 남녀가 만나 나누는 사치스러운 감정 놀음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생각을 하고 보면 틀린 말은 아니지만,
<남과 여>는 아픈 아이를 키우는 일상에 지친 두 남녀가 자신들의 감정에 솔직해지는 과정을 담담하게 그려냈다.
남들처럼하는... 데이트의 설레임
상황이 어찌되었든 <남과 여>는 한 남자와 한 여자의 담담한 사랑이야기이다.
'사랑'이라는 익숙하고도 낯선 감정의 흐름에 집중했고 주인공들의 감정이 서로에게 몰입할 수록 그들의 일상은 뒤 편으로 물러난다.
남자와 여자가 점점 서로에게 끌리듯 관객도 영화에 끌린다.
영화 초반에는 캐릭터에 대한 설명의 부족으로 캐릭터들의 행동이 선뜻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시간이 가면서 캐릭터에 대한 설명이 하나씩 추가되면서 점점 캐릭터에 동화되어간다.
초반의 답답함을 이해하고 보게 만들어주는 데에는 전도연과 공유의 섬세한 호흡이 한 몫한다.
어느 누구도 대체 할 수 없을 것 같은 그 둘은 딱 상민과 기홍이다.
손... 이끌림
<멋진하루>, <여자정혜>, <러브토크>의 이윤기 감독은 전작들에 비해 훨씬 대중적으로 다가온 것 같지만
여전히 이윤기 감독의 시선은 살아있다.
남자 캐릭터보다는 여자 캐릭터 중심으로 이야기를 끌고가는 감독의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남과 여>도 여자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특히나 영화 초반에는) 남자 캐릭터에 대한 설명이 더 부족하여
매끄럽지 않은 부분은 아쉽다.
여운이 오래 남는 영화다.
해서는 안 될 사랑이라는 면에서 <매디슨카운티의 다리>가 생각나지만
2016년형이고, 이윤기 감독의 스타일로 같은 감정이지만 표현 방식은 훨씬 세련되었다.
어찌되었든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위험한' 영화다.
이윤기 감독의 작품을 다시 보고 싶게 만든다.
남자는 여자를 스치듯 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