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보이스피싱 대처 경찰청 안내문

이번에 엄마가 보이스피싱을 당하면서 참 많은 걸 배웠네요~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는데, 막상 엄마가 보이스피싱을 당하니, 제일 먼저 뭘 해야 할지 도무지 생각이 안 나고 그냥 핸드폰 초기화만 생각나는 거 있죠~ 오히려 바로 초기화하면 증거가 다 사라져서 안됩니다!! 그래서 이번에 보이스피싱 당한 후, 사후대처법에 대해서 경험을 담아 공유드립니다.

1. 출금이 되었다면, 바로 은행에 신고!!! 전화도 받음!!! 달려가지 말고 전화하세요!! 수취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출금 정지가 되어야 피해를 줄일 수 있어서 이 작업은 무조건 빨리 해야 합니다.
2. 경찰에 피해사실 신고! 112번!!! 경찰서에서 악성 어플 삭제해 줍니다. 삭제하는 법을 모르면 경찰서로 달려가세요~
 경찰서에 전화하거나 금융감독원에 신고해도 지급정지 요청이 가능합니다. 아무것도 생각 안 날 때는 무조건 경찰서 112에 전화하세요.

일단, 위의 2가지가 가장 핵심입니다. 은행은 한 곳에 전화하면, 전체 은행에 다 연락이 되어 한 곳만 전화하면 됩니다. 보이스피싱은 분초를 다투는 싸움이에요. 무조건 보이스피싱임을 인지한 순간 1~2번을 먼저 해야 합니다.

보이스피싱 경찰청 안내문

그다음 저희는 위의 사진에 나와있는 대로 했습니다.

3. 명의도용 휴대폰 개설 확인 : 앰세이퍼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휴대폰이 개설된 게 있는지 확인했더니 2개가 있더라고요. 가입회사 정보도 나와서 전화해서 해지를 하려고 했더니, 한 곳은 업무시간이 끝났다고 아예 연락이 안 되어서 다음날 하였고 한 곳만 미리 정지를 했습니다. 앰세이퍼는 참고로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해서 없으시면, 가까운 대리점에 방문해서 개통된 전화가 있는지 확인해 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개통된 휴대폰이 있다는 걸 알았을 때는 보이스피싱범이 새 아이폰 사서 개통한 거면 우리가 전화값까지 내야하나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유심칩만 개통을 한 거더라고요. 저희 같은 사람들한테 연락할 때 사용할 휴대폰을 개통하려는 목적이었어요. 그런데 이 휴대폰으로 당근, 번개장터, 게임사이트, 개인통관고유부호 등 다양한 사이트에 가입을 해서 이걸 해지하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추후에 이어서 하겠습니다.

https://www.msafer.or.kr/index.do

 

 

4. 휴대폰 소액결제 : 저희는 피싱범이 엄마 정보를 활용해 소액결제 금액한도를 풀어서 기프티핀을 구입하고 기프티핀으로 문화상품권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일을 진행했는데, 이미 알았을 때는 소액결제 한도만큼 결제가 되어 있었어요. 그래서 뭘더 할 수는 없었는데, 소액결제 차단을 다시 신청했어요. 그런데, 알뜰폰들은 고객센터를 분실, 명의도용 이런 긴급상황이어도 9시~6시에만 운영하는 곳이 많아서 결국은 다음날 처리했어요. 위의 사진에 MY KT 이런 곳에 들어가서 하라고 되어 있는데, 알뜰폰은 결국 알뜰폰 회사에 전화를 해야 해결이 됩니다. 소액 결제한도가 월에 100만 원이나 되더라고요. 이번에 알았는데, 100만 원이면 이제 소액은 아닌 듯합니다. 소액결제한도를 애초에 낮추거나 절대 한도를 풀 수 없게 가입 시 선택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5. 구글계정 소액결제 차단 : 계정 로그인-구글 계정 관리-결제수단 관리메뉴에 등록된 카드, 계좌정보 삭제하셔야 합니다. 어르신들은 보통 구글계정까지는 잘 안 쓰시니 그나마 다행인지도요.

6. 상품권 결제 : 저희의 경우 피싱범이 소액결제로 상품권을 샀는데, 이미 알았을 때는 다 현금화해버려서 더 이상 할 수 있는 게 없었어요. 컬처랜드, 해피머니, 기프티핀 이런 곳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으니, 한번 전화연락 하셔서 추가 결제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면 좋습니다.

7. 계좌 개설 여부 확인 : 어카운트인포 사이트에 접속하면, 은행, 제2금융권, 증권사, 보험사, 대출정보 조회가능합니다. 그리고 계좌정지 신청도 가능하니, 이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추가로 개설된 계좌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면 좋습니다.

https://www.payinfo.or.kr/payinfo.html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www.payinfo.or.kr

8. 신분증 재신청 : 이미 노출된 신분증은 신고하시고, 주민등록증은 동사무소에서, 운전면허증은 경찰서에 신고해서 재발급받으셔햐 합니다.

댓글